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1 No.4 pp.322-332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3.31.4.322

국내 도심지 숲에 방사된 꽃사슴 모니터링을 통한 행동양식 및 서식지 특성분석 연구

진 기 정*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본 연구는 국내 도심지의 자연산림지와 반자연지에 방사된 꽃사슴 개체군을 모니터링 하여, 그들의 행동양식 및 서식지 특성분석을 통하여 국내 자연 환경에 적응하는 꽃사슴 (Cervus nippon taiouanus)의 개체군 조절기작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주변부에 인접한 자연산림지와 반자연지에 각각 꽃사슴 12개체 (숫꽃사슴 3개체, 암꽃사슴 9개체)를 정부의 승인을 얻어 방사하였으며,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각 개체별로 서식지 이용 특이성을 나타낸 먹이섭취장소, 수분섭취장소, 주간 휴식장소, 야간 휴식장소 등의 서식지 유형별로 연구조사원들이 유관으로 모니터링을 하였다. 방사된 꽃사슴개체군들이 무리를 이루는 적정 성비 및 개체수는 수컷 1마리와 암컷 4~9마리이었으며, 여러 마리의 새끼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사슴 1마리가 소비하는 먹이 섭취량은 연평균 생초 391.62 kg이었으며, 건초는 286.90 kg이었고, 수분섭취량은 생초 섭취 시 218.28 L, 건초 섭취 시 209.89 L이었으며, 건초를 섭취하는 시기인 가을과 겨울에는 더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지와 반자연지에 방사된 꽃사슴 방사 시 꽃사슴의 성비 및 방사 개체수 결정, 방사예정지의 자원생산 능력 및 서식지 특성에 따라서 도입 할 개체수와 공간 구성 요건의 기준으로 활용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꽃사슴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국내 다른 대형 포유류의 자연서식지 방사와 관련된 모니터링 방법 및 효과적인 개체군 조절 메카니즘의 기초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nalytical Study for Sika Deer’s Behaviour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ats Through Monitoring the Sika Deer Released at the Urban Forests in South Korea

Ki-Jung J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Seoul 110-743, Korea
Received: 9 September 2013, Revised: 27 September 2013, Revision accepted: 13 November 2013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rol mechanism of Sika deer (Cervusnippon taiouanus) populations which are adapted to the natural forest areas and the semi-naturalforest areas of Korea. We monitored and analyzed the behaviour patterns and habitat characteristicsof Sika deers. After we released 12 Sika deers (male 3, female 9) each at the two study areasin and around Seoul under the approval of Korean government, we monitored them through oursurvey researchers’ naked eyes from May 2011 to January 2012. We discriminated their habitatpatterns to 4 major places - eating food place, drinking water place, daytime rest place, and nighttimerest place. Our results showed that Sika deer preferred the open grassland habitats for feedingand resting in daytime but the closed bushland for their protection and sleep. We also foundthe recommended sex ratio of adult male to female in a herd was 1 : 4~9 for breeding and theyhad few cubs in a herd. The average amount of food for 1 adult deer was 391.62 kg of fresh grassesand 286.90 kg of hay per yea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required fora deer when grazed on grasses during spring and summer seasons is 256.8 L and when a deer feedson dry food during autumn and winter seasons, 209.8 L of water is required. From these results,we observe that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was affected substantially by the moisture contentof their food. This observational study must be very valuable for land managers to judge thenumber of deers that should be released in natural areas without high risk and to ascertain thesex ratio of large mammals including Sika deer.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is population controlmechanism study consists of efficient basic data and their values must be very effective forvarious purposes.

0053-01-0031-0004-8.pdf388.1KB

서 론

사슴류는 인구의 밀도 증가로 인한 생태계 간섭으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먹이자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 더욱 늘어나는 추세이며(Takatsuki 2009), 국내외에서 이러한 멸종위기 종을 복원하기 위하여 국가기관을 세우고 보호구역, 표지판 등으로 사슴류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국내의 경우 대륙사슴, 사향노루가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에 등재(Ministry of environment 2012)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번에 조사된 꽃사슴은 유럽에서는 19세기와 20세기에 이미 여러 나라들에서 지속적으로 개체군을 유지하며 정착하고 있는 단계이고(Fuller and Gill 2001; Lammertsma et al. 2012), 미국에서는 꽃사슴의 왕성한 번식으로 인하여 많은 지역으로 급격하게 퍼져나가는 추세이며(Feldhamer and Marcus 1994; David 2010), 오히려 꽃사슴이 질병매개체 또는 토착종과의 경쟁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이는 꽃사슴이 매우 다양한 식성을 가지고 있으며(Keiper 1985; Takatsuki 1986), 토착종보다 더 공격적이기 때문이다(Bartos 2009). 이러한 문제로 꽃사슴의 개체군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로 사냥을 이용하여 유지하고 있다(Eyler and Timko 2008). 꽃사슴의 원종이 서식하는 일본 또한 꽃사슴의 이주(Ryosuke and Fujita 2011), 먹이자원(Takatsuki 2009; Kento and Takatsuki 2012), 서식지(Rika and Maekawa 2003), 행동양식 (Richard et al. 2012), 방사 후 관리 (Matsuda and Yamamura 2010)와 같은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921년 함경북도 지방에서 러시아인에 의해 처음으로 사육되었고, 1933년에 개성상인들에 의해 만주로부터 만주산 꽃사슴이 수입되어 사육되었으나, 1950년 한국전을 거치면서 불과 10여두의 꽃사슴만이 살아남게 되었다(Jung 1999). 그 후 1955년경부터 대만, 일본 등에서 대만산, 일본산 꽃사슴이 수입되었다(Kim and Shin 1989). 외국에서 수입된 꽃사슴은 일부 부유층에서 관상 및 녹용 채취를 목적으로 하였고, 1970년 대를 기점으로 농가 소득증대를 위해 가축으로 사육되어져 왔다(Korea Deer Breeders Association 2013).

 또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시민들에게 볼거리 제공, 먹이주기 체험, 친환경적 생태계 복원이라는 목적으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내 금오도, 군산시 월명공원, 서울 숲,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등에서 꽃사슴을 방사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계 및 시민단체에서 생태계 훼손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2010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속리산사업소에서는 인근 사슴농장에서 탈출한 꽃사슴과 자연보호행사 일환으로 방사된 타이완 꽃사슴의 개체수가 50마리로 증가하여 고유종인 고라니와 노루보다 우점도가 높게 나타나 고유생태계를 훼손할 우려가 있어, 생태계 보전차원에서 포획하기 시작하여 2013년 5월 현재 17마리를 포획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우리나라에서 방사된 꽃사슴은 원 서식지 이외에서 방사되어지고 있는 이입 종으로서 방사된 개체군이 여러 다른 조건 하에서 어떻게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뤄져야 한다 (Brenda and Peace 2001; Mayura et al. 2002). 이것은 생존 가능 개체군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매번 방사하는 최적의 개체수와 그 조성 그리고 방사에 필요한 기간 (연수)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며 (Andrew et al. 2012), 도입된 종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구조건을 알아내고, 그 야생 개체군의 현황과 생물학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동물의 경우 선호하는 서식지의 특성 (Takuo 2012), 사회적 행동 (White et al. 2013), 그룹의 구성, 서식 행동권의 크기, 은신처와 먹이조건(Antonio et al. 2013), 채식습성 (Hideharu et al. 2013), 포식자와 질병, 이주하는 종의 경우 잠재적으로 이주 될 수 있는 지역이 연구에 포함되어야 한다(IUCN 1995).

 그러나 꽃사슴 방사에 있어, 그 어떤 지자체에서도 IUCN 권고안대로 이 같은 연구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꽃사슴은 주로 가축으로 사육되어져 일부 문헌에서 수엽류, 야초류를 즐겨 채식한다 (Lee 1990)는 일부 연구결과는 있으나, 자연방사 조건에서의 먹이 및 생태습성에 대한 문헌 자료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사슴 방사 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중부지방 도심지 주변의 자연산림지역과 건물, 도로, 조경시설과 일부 산림지역을 포함한 반 자연지역으로 구분하여 꽃사슴의 개체군 구성 및 행동특성을 조사ㆍ분석하여 방사지의 공간 구성과 생존을 위해 필요한 먹이ㆍ물 섭취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단 군사보호지역 특성상 항공사진 및 지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 개황

 연구지역은 해발 380 m 화강암 지반의 산악지대로 산림이 전체의 86%를 차지하며, 식생이 없는 화강암 노출지역은 14%이고, 60% 이상의 급경사지가 총 면적의 38%, 완경사지 35%, 나머지 구릉지 12%와 15%의 평지로 이뤄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12.5℃로 기온이 가장 낮은 1월은 -2.45℃이고, 기온이 가장 높은 달은 8월로 25.75 ℃이다. 평균 연 강수량은 1,450mm로 7~8월에 전체의 52.3%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1~2010). 행정구역상 수도권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남양주시, 구리시, 서쪽은 고양시, 김포시, 남쪽은 성남시, 하남시 그리고 북쪽으로는 의정부시를 경계로 북한산과 인접해 있는 군사특별보호지역이다.

 온량지수 (WI)는 107이고, 한랭지수 (CI) -18.2로 온대림에 속한다. 지형적 특성은 250 m 이상이 면적의 45%, 200m~250m는 면적의 10%, 150~200m는 20%, 100~150m는 25%로서 최고봉인 주봉(380 m)을 중심으로 북쪽은 북한산과 맞닿아 완경사를 이루며, 서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동남쪽으로 내려오면서 낮은 구릉 지형과 약간의 평지로 형성되어 있다. 폭 2m의 1차수 계곡 2곳이 동남쪽과 동서쪽으로 흐르며, 남사면 구릉지에서 발현한 계곡은 동남쪽으로 흐르는 계곡과 합쳐져 2차수를 이룬다. 연구 대상지의 전체 면적은 610.500m2로 인위적 간섭이 배제된 자연산림지역(396,000m2)과 3m 높이의 성곽(1.75 km)을 경계로 건물, 도로, 녹지 등이 분포해 있는 반 자연지역(214,500m2)으로 구분된다(Fig. 1).

Table 1. Survey habitats profile of Natural Forest Area and Semi-natural Area

Table 1. Continued

Fig. 1. Maps of south Korea (A) and Seoul city (B). Sika deer’s migration routes between the natural forest area and the semi-natural area on Bukhan national park (C) of Seoul city in South Korea.

2. 조사∙연구종

 본 연구의 대상인 타이완 꽃사슴(Cervus nippon taiouanus)은 소목 사슴과 포유류로 몸길이 150 cm, 어깨높이 83~90 cm, 몸무게 42~90 kg으로 생후 1년경과 후 수컷에서 4월경에 뿔이 나고 11월에 떨어진다. 털 빛깔은 여름털은 연한 갈색, 겨울털은 오렌지 빛을 띤 갈색에 흰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산악지대에 서식하며 낙엽이나, 어린 싹을 먹고, 연 1회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타이완이 원산지이며, 한국과 일본, 중국에서 많이 기르고 있다. 본 연구지역에 방사된 총 24마리의 꽃사슴은 경기도 인근의 동물원 방목장에서 사육하던 2~4년령된 몸무게 40~50 kg, 몸길이 140~155 cm, 어깨높이 80~88 cm의 성 성숙된 개체로 방사 전 방목장에서의 주요 먹이는 송아지용 조사료와 건초를 섭취하였으며, 미네랄 및 염분 보충을 위해 별도의 약제(인칼블럭) 공급에 의해 사육되어진 개체이다. 암컷 18마리 중 11마리는 새끼를 임신한 상태였으며, 여러 곳에서 반입된 개체로 서열은 정해지지 않았다.(Table 2).

Table 2. The list of Cervus nippon taiouanus’s sex and age. 12 deer (male 3 and female 9) were released in the two areas, NFA: Natural Forest Area, SNA: Semi-natural Area. Their coupon notations were marked on their one-side ear and the notations were used to recognize their individuals

3. 조사내용 및 방법

1) 조사내용

 본 연구는 꽃사슴 방사 시 개체군 구성, 행동특성에 따른 방사지 구성요소, 꽃사슴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하는 먹이∙물 섭취량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꽃사슴을 방사한 지역특성을 크게 구분하면 국립공원인 속리산과 금오도는 자연식생이 발달한 지역이고, 서울 숲 및 센트럴파크는 시민들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된 공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지는 중부지방에서 자연식생이 발달하고 전형적인 산림층위를 갖추었으며, 인위적 간섭을 최소화 한 자연산림지역 (37˚35′13.83′′N, 126˚58′33.35′′E)과 도로, 건물, 조경녹지 및 일부 산림을 포함한 반 자연지역 (37˚35′ 21.28′′N, 126˚59′00.30′′E)에서 장소별 각 12마리 (수컷 3마리, 암컷 9마리) 총 24마리를 방사하여 조사하였다.

2) 조사방법

 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지에 최초 방사한 ’11. 5. 1부터 ’12. 1. 17까지 각 10일간 (08:00~20:00) 사계절(1차: ’11. 5. 15~24 / 2차: ’11. 7. 24~8. 2 / 3차: ’11. 10. 16~25 / 4차: ’12. 1. 8~17)조사로 진행하였다. 개체식별을 위해 방사 전 수컷은 가, 나, 다, 암컷은 1~9 순으로 이표(耳表)를 부착하였으며(Fig. 2), 개체군의 구분은 자연산림지역과 반 자연지역 모두에서 알파벳(A~E)으로 구분하였다. 조사기간 중 태어난 새끼의 성별은 신체 특성상 유관으로 명확한 판별이 불가하고, 이표 부착 시 마취에 의한 폐사 가능성이 높아 부착하지 않았다. 개체군집 구성 및 행동특성 조사는 조사자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간섭거리 밖인 50 m 이상 간격을 두고 목견조사를 실시하였다. 꽃사슴 이동거리는 경보용 거리 체크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 2. The notation photos marked on each deer’s right-side ear. (A) a male Ga (가), (B) a male Na (나), (C) a male Da (다), (D) females 1 through 9 in the Natural Forest Area and the Semi-natural Area.

 사전조사를 통해 꽃사슴이 취하는 행동 (먹이취식, 물먹기, 휴식, 야간 휴식지 이동)을 보이는 장소는 지점(1~14)별로 구분하였으며, 군집 개체의 분포에 따라 경계를 표기하였고, 각 지점별로 이동경로와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생조사는 식물사회학적 방법 (Braun-Blanquet)에 따라 장소별로 3개소의 조사구(10m×10 m)를 선정하여 조사구 내에 출현하는 모든 종에 대해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나누어 우점종과 피도를 조사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원색대한식물도감을 기준으로 하였다(Lee 1985).

 꽃사슴이 필요로 하는 일일 먹이∙물 섭취량 조사는 생초를 먹는 하절기 (’11. 7월, 8월)와 건초를 먹는 동절기(’11. 11월, 12월)에 성 성숙한 꽃사슴 5마리(수컷 3마리, 암컷 2마리)를 대상으로 먹이와 물이 없는 반자연지역의 일정 공간에서 각각 10일간 자유 배식으로 물과 먹이를 공급하여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생초 취식량 조사 대상 식물은 문헌 (Lee et al. 2008)조사 결과를 토대로 꽃사슴이 선호하는 수엽류와 야초류 중 현지에서 흔적조사를 통해 꽃사슴이 채식한 경험이 있는 창포, 수호초, 질경이, 청가시덩굴, 원추리, 구절초, 수크령, 쑥 등 1.5 kg과 아까시나무, 개나리, 두릅, 참싸리, 병꽃나무 등 5종의 수엽류 1.5 kg 등 총 3 kg을 방사지역에서 당일 아침 채취하여 무게 측정 후 공급하였으며, 24시간 경과 후 취식한 양의 무게와 비교였다. 건초 1일 섭취량 조사는 방사지에서 채취한 갈참나무 잎, 상수리나무 잎, 아까시나무 잎, 칡 등 낙엽류 3 kg을 생초 취식량 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1일 물 섭취량 조사는 먹이 섭취량 조사와 병행하여 방사지역 내 계곡에서 당일 채수한 20리터의 물을 용기에 담아 먹이통 주변에 배치하여 24시간 경과 후 잔량을 조사하였다. 단 생초 및 수분의 증ㆍ발산량은 고려하지 않았다.

결과 및 고찰

1. 개체군 구성

 꽃사슴 개체군은 자연산림지역에서 3그룹, 반 자연지역에서 2그룹으로 개체군을 이루었고, 1마리의 수컷이 4~9마리의 암컷 개체와 개체군을 구성하였다. 암컷을 포함한 가장 많은 개체로 구성된 개체군은 반 자연지역의 D그룹 (수컷 1, 암컷 9, 새끼 6)이며, 가장 작은 개체로 구성된 개체군은 자연산림지역의 B그룹 (수컷 1, 암컷 4, 새끼 2)으로 조사되었다. 반 자연지역에서는 수컷개체 2마리로 구성된 개체군(E그룹)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산림지역에서는 1, 2차 조사에서는 개체군 B에 속해있다. 3차 (가을)조사에서 수컷 단독 C그룹이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꽃사슴의 개체군집 구성은 성숙한 수컷 개체 1마리와 암컷 4~9마리, 다수의 새끼를 포함한 개체군을 이루며, 봄, 여름에는 2마리의 수컷이 개체군집을 형성했다. IUCN 적색종 보고서에서는 수컷 한 마리가 일생의 대부분을 단독 생활을 하며, 발정기에 2~3마리의 암컷과 그룹을 이룬다고 했으나, 본 연구결과는 방사초기부터 자연산림지역의 A그룹, 반자연지역의 B그룹은 수컷 1마리에 5~9마리의 암컷으로 그룹을 이루었으며, 자연산림지역의 B그룹은 방사 초기에는 수컷 2마리와 암컷 4마리로 그룹을 이루었으나, 발정기인 가을 이후에는 수컷 1마리가 그룹에서 이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Table 3. The configuration of Sika deer (Cervus nippon taiouanus)’s group and their populations including fawns during the four timesurvey periods, 1st Survey (Spring, 2011. 5. 15~2011. 5. 24), 2nd Survey (Summer, 2011. 7. 24~2011. 8. 2), 3rd Survey (Autumn, 2011. 10. 16~2011. 10. 25), 4th Survey (Winter, 2012. 1. 8~2012. 1. 17) between Natural Forest Area and Semi-natural Area

1) 자연산림지역

 자연산림지역 내 1, 2차 조사에서는 A그룹 (수컷 1마리, 암컷 5마리), B그룹 (수컷 2마리, 암컷 4마리)으로 나뉘어 개체군을 구성한 것으로 나타났고, 2차 조사에서 새끼 3마리가 태어난 것을 확인했다. 3차 조사에서는 각 그룹별 새끼 1마리가 추가 확인 되었고, B그룹에서 수컷 “다”가 배제되었다. “다”는 B그룹과 반경 30~50 m의 일정한 거리를 두고 주위를 맴돌며 함께 행동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수컷의 연령대가 높은 A그룹은 9마리의 개체로 그룹을 구성하였고,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은 B그룹은 7마리로 나타났으며, 1마리의 수컷이 암컷 4~5마리와 개체군을 구성하였다.

2) 반 자연지역

 반 자연지역에서는 연령이 가장 높은 수컷 “가”를 중심으로 암컷 8마리 모두 D그룹(수컷 1마리, 암컷 8마리)을 형성했고, 2차 조사에서는 새끼 1마리가 태어났으며, 3차 조사에서는 5마리가 추가로 관찰되었다. 수컷 “나”와 “다”가 E그룹 (수컷 2마리)을 형성하여 D그룹과 30~50m의 일정한 거리를 두고 따라 다녔다.

2. 행동 특성

1) 주요 행동 특성 및 소요시간

 계절별 10일간(08:00~20:00) 수행한 조사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먹이취식 59.47%>휴식 27.96%>이동 5.70% >야간 휴식지 이동 5.09%>물 먹기 1.78% 순으로 5가지 행동 특성을 나타냈다. 그 밖에 앞발들기, 뿔치기, 핥아주기 등 소수 행태는 전체 조사 기간 중 개체군별로 1, 2회 나타났으나, 특정 시기에 특정 장소에서 나타나는 행동이 아니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2) 이동거리 및 경로

 방사 초기 1차 조사에서 꽃사슴 개체군의 이동거리는 2.3~2.6 km로 나타났으며, 2ㆍ4차 조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거리 (행동권)가 점차 확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경로는 개체별로 10~30m의 간격을 두고 무리를 형성하여 함께 이동했으며, 다른 무리와 활동 경로가 겹치지는 않았으나, 하층부 식생이 발달하고, 물을 먹을 수 있는 계곡이 있는 자연산림지역의 7, 8지점을 시간차를 두고 A, B그룹이 공동으로 이용했다. B 그룹에서 이탈한 C그룹의 수컷 “다”는 B그룹과 50 m~60m의 간격을 두고 함께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 자연지역에서는 여러 개체군으로 구성된 D그룹을 E 그룹이 50~70 m 간격을 두고 함께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어, 반 자연지역에서와 동일하게 암컷과 개체군을 이루지 못한 수컷 개체군이 뒤를 쫓아다녔다. 이동거리는 가을과 겨울에 1.19 km를 더 이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몸집이나 먹이원이 비슷하고, 연구지역이 우리나라의 자연산림지역에서 실시한 고라니와 계절별 행동양상을 비교하면 (Park 2013) 고라니는 겨울>봄>여름>가을 순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의 꽃사슴 방사지인 자연산림 지역에서는 겨울>가을>여름>봄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4. The habitat use pattern by Sika deer groups’ behaviour patterns during the four time-survey periods, 1st Survey (Spring, 2011. 5. 15~2011. 5. 24), 2nd Survey (Summer, 2011. 7. 24~2011. 8. 2), 3rd Survey (Autumn, 2011. 10. 16~2011. 10. 25), 4th Survey (Winter, 2012. 1. 8~2012. 1. 17) between Natural Forest Area and Semi-natural Area

3) 각 지점별 식생 및 이용도

 꽃사슴 이용 빈도가 높은 지점은 자연산림지역, 반 자연지역 모두에서 산림의 수직적 층위가 잘 발달되어 특히 꽃사슴이 먹이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아교목층, 관목층 피도율이 90% 이상 되는 곳으로 나타났다.

 휴식을 취하는 장소는 초화류 피도 율이 높은 자연산림지역의 7, 8지점과 반자연지역의 2, 3, 5, 6지점의 개활지에서 나타났으며, 고도가 높고 관목림이 잘 발달한 자연산림지역의 1, 2, 3, 4, 12, 13, 14지점과 반 자연지역의 1, 2, 5지점에서 야간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계곡을 포함한 자연산림지역의 5, 7, 8지점, 반 자연지역의 2, 5, 6, 7지점에서 물과 먹이를 함께 취식하는 장소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사슴이 먹이 취식, 물먹기, 휴식, 야간 휴식 등 다양한 이용 빈도를 갖는 곳은 반자연지역의 5지점으로 조사되었으며, 먹이취식, 물먹기, 휴식 등의 이용 빈도를 보이는 곳은 자연산림지역의 7, 8지점과 반자연지역의 2지점으로 물을 먹을 수 있는 계곡을 포함하며 하부 식생 피도율이 95% 이상 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Fig. 2). IUCN 적색종에서 꽃사슴은 하층 식생이 발달한 지역, 산기슭, 초원, 하부가 열린 숲 등 환경에 따라 다양한 공간에서 서식하나, 먹이 선호도 조사에서 갈참나무>벗나무>졸참나무>화본과 식물 순으로 나타난 결과 화본과 식물보다는 수엽류를 선호하였다(Lee 2008).

3. 먹이 및 물 취식량

 꽃사슴 개체 당 방사에 필요한 먹이 생산 면적 및 물필요량 산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에서 먹이 1일 섭취량은 평균 생초 1.83 kg, 건초 1.90 kg으로 건초 섭취량이 0.07 kg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필요로 하는 1일 물 섭취량은 생초를 먹을 때는 평균 1.02 L, 건초를 먹을 때는 1.39 L의 물을 섭취하여 생초 보다는 건초를 섭취할 때 0.37 L의 물을 더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3). 꽃사슴의 1일 사료 채식량에 대한 선행연구 (Jung 1999)와 비교하면 사료를 먹을 때는 1일 평균 1.7 kg의 먹이가 필요했으나, 방사 시에는 사료를 먹을 때 보다 더 많은 먹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초 0.13 kg, 건초 0.2 kg).

Fig. 3. (A) The average amount (Kg) and standard errors of daily fresh grass (for summer) and dry grass (for autumn) fed by 5 Sika deer (SNA Ga, Na, Da, 2, 3) in semi-nature area for 10 days in summer (August 22~August 31) and in autumn (November 14~November 23) in 2011. (B) The average amount (L) and standard errors of drinking water after daily eating grass.

결론 및 제언

 본 연구결과 꽃사슴 자연방사 시 개체군 구성은 자연산림지역에서는 3그룹, 반 자연지역에서는 2그룹으로 자연산림지역에서 더 많은 그룹을 형성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개체군의 구성은 성 성숙한 수컷 1마리가 암컷 4~9마리와 다수의 새끼로 무리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동거리는 반 자연지역보다는 상대적으로 넓은 자연산림지역에서 더 많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먹이자원이 풍부한 봄, 여름보다는 먹이가 부족한 가을, 겨울에 더 많이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사슴의 주요 행태는 먹이 및 물 취식, 휴식, 야간 휴식, 이동 등으로 조사되었고, 먹이와 물을 찾는 장소는 하부 식생 피도율이 높고, 계곡이 있어 쉽게 물을 구할 수 있는 장소를 이용했으며, 초화류 피도율이 높은 넓은 개활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저녁이 되면 야간 휴식장소로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야간휴식 장소는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지대가 높고, 숲이 발달한 지역이다. 꽃사슴이 필요로 하는 일일 먹이 및 물 섭취량은 성 성숙한 꽃사슴 1마리를 기준으로 생초 1.83 kg, 건초 1.90 kg이며,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은 생초를 먹는 봄, 여름에는 1.02 L, 건초를 먹는 가을, 겨울에는 1.39 L의 물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꽃사슴 방사 시 개체성비는 성 성숙한 수컷 1마리와 암컷 4~9마리로 나타났으며, 방사 개체 당 연간 391.62 kg (4~10월/214일 기준)의 생초와 286.9 kg (11~3월/151일 기준)의 건초를 생산할 수 있고, 물 소비가 더 많은 겨울 기준 507.35 L의 물 공급이 가능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초화류 피복 율이 높은 개활지와 야간 휴식을 위해 하부 식생이 발달한 곳이 꽃사슴 개체군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꽃사슴 방사 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조사 자료를 기초로 물 및 먹이자원의 생산능력에 따라 방사지 내 개체수와 공간 구성을 결정할 수 있으리라 본다.

 향후 꽃사슴의 서식처, 은신처, 행동특성, 번식 등 생태특성 전반에 대한 조사와 방사하고자 하는 지역의 면적과 환경수용능력을 감안한 적정 개체수 도입에 대한 포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

1.Austin Z, DG Raffaelli and PC White. 2013. Interactions between ecological and social drivers in determining and managing biodiversity impacts of deer. Biol. Conserv. 158: 214-222.
2.Bartos L. 2009. Sika deer in continental Europe. Sika deer biology and management of native and introduced populations. Springer, New York, USA. pp. 573-594.
3.Brenda AM and AJ Peace. 2001. Estimating deer abundance from line transect surveys of dung: sika deer in southern Scotland. J. Appl. Ecol. 38:349-363.
4.David M. 2010. Spatial ecology and survival of subadult male sika deer on maryland's eastern shore. A thesis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of Delaware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in Wildlife Ecology. pp. 4-29.
5.Eyler TB and G Timko. 2008. Maryland annual deer report 2007-2008. Maryland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Wildlife and Heritage Service. Annapolis, Maryland, USA.
6.Fautley R, T Coulson and V Savolainen.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promoting deer invasion. Biol Invasions 14:2271-2281.
7.Feldhamer GA and MA Marcus. 1994.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emale sika deer in Maryland. J. Wildlife Manag. 58:670-673.
8.Fuller RJ and RMA Gill. 2001. Ecological impacts of increasing numbers of deer in British woodland. Forestry 74:194- 197.
9.IUCN Guidelines for Re-introductions, Conservation Genome Resource Bank for Korean Wildlife. Korea Plant Special Group standard. http://www.cgrb.org/. (in Korean)
10.Jung. 1999. A Study on the standard specification of flower deer.
11.Keiper R. 1985. Are sika deer responsible for the decline of white-tailed deer on Assateague Island Maryland? Wildlife Soc. Bull. 13:144-146.
12.Kento K and S Takatsuki. 2012. A comparison of food habits of two sympatric ruminants of Mt. Yatsugatake, central Japan: sika deer and Japanese serow. Acta Theriol. 57:343-349.
13.Kim DA and BT Shin. 1989. Guidebook of feeding and management. Korea Feed Association. (in Korean)
14.Korea Deer Breeders Association. http://www.koreadeer.or.kr/. (in Korean).
15.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in Korean).
16.Korea national park service. press release (2012. 3. 22) http://www.kknps.or.kr/. (in Korean)
17.Lammertsma DR. 2012. Risk assessment of Sika deer Cervus nippon in the Netherlands. Alterra Report 2295.
18.Lee CB. 1985. The Korea plant-book colors.
19.Lee ID. 1990.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browse by the sika deer (cervus nippon); 1. food habits of the sika deer. pp.100. (in Korean)
20.Lee ID. 2008. Study on the Food Habits of Sika Deer (Servus Nippon)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pp. 61-64. (in Korean)
21.Matsuda H and K Yamamura. 2010. Adaptive management of sika deer populations in Hokkaido, Japan: theory and practice. Popul. Ecol. 52:373-387.
22.Ministry of environment. 2012. List of Endangered species in Korea.
23.Park HM. 2013. Study on home range analysis using GPS tracking and soil material cycle of feces of Korean water deer.
24.Rika A and K Maekawa. 2003. Seasonal habitat selection of an expanding sika deer Cervus nippon population in eastern Hokkaido, Japan. Wildlife Biol. 9:141-148.
25.Ryosuke K and N Fujita. 2011. Is deer herbivory directly proportional to deer population density? Comparison of deer feeding frequencies among six forests with different deer density. Forest Ecol. Manag. 262:432-439.
26.Takada M, M Asada and T Miyashita. 2002. Cross-habitat foraging by sika deer influences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a forest-grassland landscape. Oecologia 133:389-394.
27.Takatsuki. 1986. Food Habitats of Sika Deer on Mt. Goyo, Northern Honshu. Ecol. Res. 1:119-128.
28.Takatsuki. 2009. Effects of sika deer on vegetation in Japan: A review. Biol. Conserv. 142:1922-1929.
29.Takatsuki. 2009. Geographical variations in food habits of sika deer: the northern grazer vs. the southern browser, Sika Deer: Biology and Management of Native and Introduced Populations. pp. 231-237.
30.Takuo N. 2012. Effects of browsing by sika deer (Cervus nippon) on subalpine vegetation at Mt. Kita, central Japan. Ecol. Res. 27:467-473.
31.Tanentzap AJ, KJ Kirby and E Goldberg. 2012. Slow responses of ecosystems to reductions in deer (Cervidae) populations and strategies for achieving recovery. Forest Ecol. Manag. 264:159-166.
32.Tsukada H, T Kida, M Kitagawa, T Suyama and N Shimizu. 2013. Simple quantitative method for estimation of herbage damage caused by sika deer (Cervus nippon). Japanese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ISSN1744-6961. pp. 1-13.
33.The Iucn Red List threatened Species. 2013. http://www.iucnredlist.org.
34.Uzal A, S Walls, RA Stillman, A Diaz. 2013. Sika deer distribution and habitat selection: the influence of the availability and distribution of food, cover, and threats. Eur. J. Wildlife Res. 59:563-572.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