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상담학연구
약어 : -
2010 vol.11, no.2, pp.623 - 640
DOI : 10.15703/kjc.11.2.201006.623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상담학회
368 회 열람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확인하여 합리적인 진로탐색과 진로결정을 도울 수 있는 진로상담 및 진로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력단절여성 140명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목표설정만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진로장벽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 하였다. 경력단절기간에 따라서 진로장벽 지각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 자기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의 연령, 막내자녀 학교 수준에 따라 주당활동시간의 차이가 있었고, 경력단절여성의 학력에 따라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목표설정, 문제해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복귀를 돕기 위한 진로상담과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할 때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effective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and provide 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counselling programs to career search and career decision. So we measured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140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perceived career barrier is,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Second,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women whose career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diffrence influences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Especially creating goals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ve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s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Th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the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Third,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ducation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and provide grounds, the who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creating goals and the problem-solving, show meaningful differences. Als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diate completely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 percep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periods of career interrupted, we confirmed meaningful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 perception and who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mong the elements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creating goals and the problem-solving also confirm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he age of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and the youngest child's standards of school, working hours in a week they have differences. When we develop and practice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programs for helping women whose career were interru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ull of suggestions. Last, we have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 and future research.

진로상담, 경력단절 여성,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 1. [학위논문] 강정은 / 2008 / 진로장벽, 심리적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4년제 여자대학생과 전문대 여자대학생의 비교
  • 2. [기타] / 2008 /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제2조
  • 3. [단행본] 김계현 / 1995 / 적용영역별 접근 상담심리학 / 학지사
  • 4. [학위논문] 김미영 / 2005 / 여성실직자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및 직업포부 수준과의 관계
  • 5. [학위논문] 김민순 / 2004 / 홀랜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6. [학위논문] 김봉환 / 1997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화
  • 7. [학위논문] 김선정 / 2005 / 직장과 가정 간의 갈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특성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8. [학술지] 김선중 / 2004 / 대학생의 지로준비행동-진로장벽의 관계유형과 지로자기효능감, 희망, 삶의 의미와의 관계 / 학생생활연구 / 18 (12) : 75 ~ 12
  • 9. [학위논문] 김선중 / 2005 /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10. [학위논문] 김지경 / 2002 /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복귀에 관한 분석
  • 11. [학위논문] 김형균 / 2003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 12. [학위논문] 손은령 / 2001 /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 13. [학위논문] 윤지숙 / 2002 / 기혼취업여성의 이중역할부담에 관한 연구
  • 14. [학위논문] 이명숙 / 2003 /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 15. [학위논문] 이상희 / 2005 / 대학생의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효과
  • 16. [학위논문] 이성식 / 2006 /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 모형
  • 17. [학위논문] 이은경 / 2001 /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18. [학위논문] 이제경 / 1997 /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발달의 대학 전공분야별 비교
  • 19. [보고서] 이지연 / 2004 / 경력차단 여성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 20. [보고서] 이지연 / 2002 / 경기도 여성특화 직업상담센터 내실화 방안연구
  • 21. [학위논문] 최정원 / 2005 /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지각에 관한 연구
  • 22. [학술지] Bandura, A. / 1977 /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Psychological Review / 84 : 191 ~
  • 23. [학술지] Baron, R. M. / 1986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1 (6) : 1173 ~ 6
  • 24. [학술지] Betz, N. E. / 1996 / Evaluation l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4 : 47 ~
  • 25. [학술지] Brown, S. D. / 1996 / A social cognitive framework for career choice counseling /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 44 : 354 ~
  • 26. [단행본] Firzgerald, L. F. / 1994 / Career Development in cultural context: The role of gender, race, class and sexual orientation. in: Convergence in career development theories Implication for science and practice / Counseling Psychologists Press. Inc : 103 ~
  • 27. [학술지] Hackett, G. / 1996 / Social cognitive theory and the career development of African American Women /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 44 : 322 ~
  • 28. [학술지] Lent, R. W. / 1994 / Monograph: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45 : 79 ~
  • 29. [학술지] Lent, R. W. / 2000 / m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47 (1) : 36 ~ 1
  • 30. [학술지] Mcwhirter, E. H. / 1998 / Assessing Barriers to Women`s Career Adjustment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6 (4) : 449 ~ 4
  • 31. [학술지] Richie, B. S. / 1997 / Persistence, connection, and passion: A qualitative study of the career development of highly achieving African American-Black and White women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44 : 133 ~
  • 32. [학술지] Swanson, J. L. / 1996 /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4 : 219 ~
  • 33. [학술지] Swanson, J. L. / 1997 /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5 : 443 ~
  • 34. [학술지] Tang, M. / 1999 / Asian American`s Career Choices: A Path Model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s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54 : 142 ~
  • 35. [학술지] Taylor, K. M. / 1983 /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 decision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22 : 63 ~
  • 36. [학술지] Taylor, K. M. / 1990 / An examination of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ocational indecision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37 : 17 ~
  • 37. [단행본] Vondracek, F. E. / 1986 / Career Development: A life-span developmental approach / Eri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