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신체 감시성, 신체수치심), 사회적 체형불안 및 우울 간의 인과관계가 여가스포츠 참가빈도(LTEQ)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지역에 거주 중인 한국 대학생 총 60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은 사회적 체형불안을 높이며, 그 중에서도 신체수치심의 증가는 사회적 체형불안을 현격히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아진 사회적 체형불안은 우울감을 증가시켰다. 셋째, 여가스포츠 참가빈도(LTEQ)는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높아질수록 대학생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높아지고, 높아진 사회적 체형불안은 다시 우울감을 증가시키는 인과관계에 있어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LTEQ 고 집단은 저집단에 비해 사회적 체형불안에 대한 객체화된 신체의식(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의 정적 영향력이 덜 했으며, 우울감에 대한 사회적 체형불안의 정적 영향력 또한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fied physical 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social pyhsique anxiety,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frequency (LTEQ). To this e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group structure model analysis are conducted using observations obtained by surveying 608 Korean college studen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increases the social pyhsique anxiety. In particular, the increase of the body shame increases social physique anxiety. Second, increased social physique anxiety increases depression. Third, LTEQ high group shows lower impact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ay, body surveilance, and body shame, on social physique anxiety than LTEQ low group. Furthermore, lower static influence of social physique anxiety on depression is observed from LTEQ high group. In other words, the LTEQ high group showed less static influence of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n the social anxiety than the low group, and the static influence of the social anxiety on the depression was also less.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692-00057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