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서양종 꿀벌 수벌번데기의 일반성분, 비타민, 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함량 등 성분분석을 통하여 식품원료로 등록하기 위한 식품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수벌번데기의 일반성분 분석결과에서는 3대 필수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특히 단백질의 함량이 11%로 높게 측정되었다. 수벌번데기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아미노산 9종을 포함하여 총 18종이 검출되었고 글루탐산이 가장 많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필수아미노산 중 발린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총 12종의 무기물이 확인되었으며 체내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는 칼륨과 인의 함량이 높았다. 수벌번데기에는 수용성 비타민 B1과 C, 지용성 비타민 E가 미량으로 존재하였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3%와 2%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벌번데기는 각종 아미노산 및 무기물, 비타민, 저지방, 고단백질을 함유한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곤충임을 알 수 있었고,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 환자, 근육량이 적은 노인들을 위한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Drone pupa of honeybee (Apis mellifera) has been used as food for enhancing immune system in many countries. However, despite its high nutritional value, it is not registered as food ingredient in Korean food standards codex.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characterization of drone pupa through chemical analysis.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arbonate and ash in proximate composition were 74.23%, 11.05%, 8.19%, 5.68% and 0.85%, respectively. 18 amino acids, including 9 essential amino acids were found in drone pupa with the highest level of glutamic acid at 1631.9mg/100g. The drone pupa which contains 12 minerals was rich in K (235.78mg/100g) and P (177.35mg/100g). Vitamins (B1, C and E) and fatty acids were present at low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neybee drone pupa is a rich source of protein and other essential nutrients and thus could be used as a food ingredient.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