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의 적용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건강관리에 대한 모바일 앱의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정신건강 앱 이용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미흡하다. 한국사회의 높은 자살률과 정신질환 증가율을 고려했을때, 모바일 앱은 정신건강 관리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을 토대로 정신건강 앱 이용에 미치는 개인적, 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조사에는 총 228명의 성인남녀가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분석 결과, 정신건강 앱 이용 의도에 대한 정보 요인(예, 정신건강 지식)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는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정신건강 앱 이용에 대한 동기 요인(예, 사회적 지지, 주관적 규범, 정신건강 앱 이용 태도)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가모두 나타났다. 행동능력(예, 자기 효능감)은 동기와 앱 이용 의도 사이를 매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에 문화적 변인인 정신과 상담/치료에 대한 태도를 추가하였으며, 해당 변인은 앱 이용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 이용 및 정신건강 중재 방안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동기의 촉진과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중요함을 지적한다.

Although the positiv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s on health care have been well-documented,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one’s intention for using a mental health application. Given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ental health illnesses and high suicide rates, mobile applications are a promising too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in Korean socie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the mental health app use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A total of 228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the information factor (ex. level of mental health knowledge) did not show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intention to use the mental health app. The motivation factor (ex. social support, subjective norm, and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app use), however, demonstrated both indirect and direct influences. Further, behavioral skill (ex.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otiva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app.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model by adding a cultural variable (ex.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TSPH).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ATSPH and intention to use the app.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mobile app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by promoting individual and social motivation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및 연구모델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