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운동복의 기능성과 일상복의 편안함과 패션성이 결합된 애슬레저 룩은 단순한 패션 트렌드를 넘어서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애슬레저의 개념과 등장 배경을 파악하고 애슬레저의 국내 산업 경향을 고찰하였다. 패션산업 내에서 표현된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패션 장르 내에서 전개되는 애슬레저의 표현 경향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표현 경향 고찰을 토대로 유형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퍼포먼스 지향, 라이프스타일 지향, 절충 지향으로 분석되었다.
애슬레저 룩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패션 산업내 스포츠, 캐주얼, 아웃도어, SPA브랜드의 영역에서 표현되는 애슬레저의 표현 경향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변화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애슬레저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늠하고 패션 브랜드들의 디자인 기획 및 콘셉트 설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thleisure Look is a combination of functionality of sportswear, convenience of everyday clothing and fashionability. It is not confined to simple fashion style. It is developing into a kind of life styl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the concept of athleisure and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and examined the tendencies of athleisure industry in Korea.
In order to comprehe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thleisure in fashion industry, this study has explored the generative processes of athleisure and its expression trends in various genres of fashi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based on their expression tendencies has shown that they are performance-directional, lifestyle-directional and Eclectic-directional.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ould devote to diagnosing the possibility of continuing growth of athleisure, and could help fashion brands in their design project and concept set-up in the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패션산업에서의 애슬레저 표현 경향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요약

참고문헌 (3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691-002256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