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 1,115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감 수준과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 변인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과 사회참여 실태를 파악하였고, 둘째, 베이비붐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감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주는 사회참여 영향변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전반적인 사회통합감 수준은 3.437점으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 실태는 소득활동은 77.7%가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27.0%, 여가단체활동 79.3%, 교육(배움)활동 28.2%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통합감의 차이를 보면, 성별은 여성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직업은 사무관리/전문직인 경우, 거주지는 군 지역에 거주할 경우,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생활수준은 높을수록 사회통합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통합감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변인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으로, 교육(배움)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여가단체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사회통합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신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키워드

베이비붐 세대, 사회통합, 사회참여, 자원봉사활동, 교육활동

참고문헌(30)open

  1. [학위논문] 김병학 / 2008 / 교회의 노인교육과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2. [학위논문] 강우진 / 2001 / 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3. [학술지] 김동배 / 2000 / 노인 여가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연구 / 연세행정논집 25 : 137 ~ 160

  4. [단행본] 김수영 / 2009 / 노년사회학 / 학지사

  5. [단행본] 김윤정 / 2008 / 노년기 사회적 관계와 정신건강 / 한국학술정보원

  6. [학위논문] 김은정 / 2002 /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7. [기타] 국무총리실 / 2011 / 장년세대(베이비붐 세대) 퇴직 대비 고령사회 대책 보완 방안 / 2011년 10월 30일 보도자료,관계부처합동

  8. [단행본] 박영근 / 2007 / 인본적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개발 /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9. [학위논문] 변소현 / 1998 /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10. [학술지] 오영희 / 2006 / 고령사회의 사회통합적 여가활성화 방안 / 보건복지포럼 13 : 31 ~ 38

  11. [학위논문] 이강훈 / 2008 / 장애인협회 회원들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12. [학술지] 이남복 / 2010 / 체계이론과 사회통합 / 한국사회과학연구 32 (1) : 143 ~ 163

  13. [학술지] 이익섭 / 2010 / 장애인 사회통합의 지수개발과 측정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38 : 206 ~ 233

  14. [학술지] 정은경 / 2008 / 중도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사회복지개발연구 14 (1) : 63 ~ 100

  15. [학위논문] 최미영 / 2003 / 사회적 낙인이 화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16. [보고서] 최성재 / 2009 / 고령화 사회의 노인 사회참여 필요성과 과제

  17. [학술지] 최재성 / 2009 /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 309 ~ 341

  18.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0 /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19. [보고서] 한경혜 / 2011 / 한국의 베이비 부머 연구

  20. [단행본] 한덕웅 / 2002 / 집단행동이론 / 시그마프레스

  21. [학위논문] 한성민 / 2011 / 노인의 만성질환 보유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감의 조절효과 검증

  22. [학술지] 황보옥 / 2011 / 중증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재활복지 15 (3) : 289 ~ 315

  23. [단행본] Barker, R. L / 1995 / The social work dictionary(3rd ed) / NASW Press

  24. [단행본] Hooyman, N. R. / 2008 / Social Gerontology;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8th edition / Allyn and Bacon

  25. [단행본] Powers, C. H / 1981 / Power and principles of Social Integration /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26. [학술지] Rohr, M. K. / 2009 / Aging Well Together-A Mini-Review / Gerontology 55 : 333 ~ 343

  27. [단행본] Leitner, M. J / 1996 / Leisure in later life / Haworth Press

  28. [단행본] Neugarten, B. L. / 1998 /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Successful aging / Random House

  29. [단행본] Taylor, S / 1990 / Quality of life and the individual's perspective. In R.L.Schalock(ed), Quality of life: Perspectives and issues / American Associaltion on Mental Retardation

  30. [학술지] Tajfel, H / 1974 /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behavior / Social Science Information 13 : 65 ~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