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20.101
18.222.20.101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of Career barrier
이아라 ( Lee A-ra ) , 이주영 ( Lee Juyoung ) , 손보영 ( Son Bo Young )
DOI 10.21509/KJYS.2018.11.25.11.35
UCI I410-ECN-0102-2023-300-000523669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합의적 질적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장벽은 총 8개 영역(자기이해부족, 직업정보부족, 불안과 부담감, 미성숙한 진로태도, 진로역량부족, 자신감 부족, 외적지원 미비, 경제적 어려움)과 16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다문화 청소년들은 자신의 적성과 가치관을 혼란스러워하고 있었고, 직업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진로와 관련된 중요한 결정을 혼자 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실패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며, 미래 직업상황에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이 있을지 걱정하고 있었다. 다문화 청소년들의 낮은 학업성취와 언어적 어려움, 낮은 자신감 역시 이들의 진로결정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청소년들은 진로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조언자와 행정지원이 보다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개입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reer barriers tha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15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rriers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in making decisions are resulted in 8 categories and 16 subfactors. 8 categories is ‘lack of self-comprehension’, ‘lack of job information’, ‘anxiety and burden’, ‘immature career attitude’, ‘lack of career competencies’, ‘lack of confidence’, ‘lack of external support and economic difficulty’. Subfactors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onfused about their aptitude and values and thought job information is insufficient. They also experienced the strain of having to make major career decisions by themselves, the anxiety of failure, and were worried about possible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in future career situations. Low academic achievements, low language difficulties and low self-confidence also hindered their career decisions. Lastly,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ppealed for more administration supports and counseling services. Based on this result, we provid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bout multi-cultural youth’s career barriers and prepared basic data on career counseling in multi-cultural youth.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