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40.75
3.149.240.75
close menu
KCI 등재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tress Coping and Internet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and Impulsivity
오충광 ( Chung-kwang Oh ) , 배애진 ( Ae-jin Bae )
청소년학연구 26권 12호 401-424(24pages)
DOI 10.21509/KJYS.2019.12.26.12.401
UCI I410-ECN-0102-2023-300-000527016

본 연구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정서조절과 충동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변인들 간의 상관 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모형검증에 사용된 연구모형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정서조절과 충동성을 각각 완전매개하여 인터넷 중독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조절과 충동성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인터넷 중독에 부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상관분석 결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정서조절은 인터넷 중독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충동성은 인터넷 중독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모형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정서조절과 충동성을 완전매개하거나 순차적인 이중매개 경로를 통해 인터넷 중독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절한 대처로 인터넷 중독 문제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충동성을 감소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tive stress coping, emotion regulation,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 data from a total of 506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tive stress coping and emotion regula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impulsivit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 regulation and impulsivity mediated fully and sequen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tress coping and internet addic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