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에게 자신의 건강관리 상태를 측정 할 수 있는 건강관리능력척도(HCAS: Health Care Ability Scale)를 개발하고,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문항들의 중요도와 적합도 및 구성요인들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개발된 척도에 응답하는 중․고등학생들에게 신체활동의 수행을 통해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건강관리능력척도 문항개발단계에서 건강관리능력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수집하고, 건강관리에 전문성을 지닌 대학교수 및 체육교사 5명을 선정하여 내용타당도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문항과 척도를 경기도 지역 중․고등학생 687명(남자=344명, 여자=343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로 보완한 건강관리능력척도를 경기도, 충청지역 중․고등학생 343명(남자=182명, 여자=161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건강관리능력척도 개발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내용에 기초한 증거를 토대로 사전연구의 건강관리능력측정 97문항을 수집 하였다. 둘째, 수집한 97문항을 예비검사를 통해 적합도가 결여되거나 성별에 따라 차별이 되는 문항 66문항을 제거하였다. 셋째, 제거 후 남은 31문항을 탐색적 요인분석(EFA)를 통해 5요인 2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예비검사로 구성된 5요인 21문항을 다른 연구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분석(CFA)를 통해 부적합한 3문항을 제거하고, 최종 5요인 18문항의 HACS를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건강관리능력척도의 측정모형은 5요인 18문항(정신건강 6문항, 운동노력 3문항, 영양 및 식습관 3문항, 위생관리 3문항, 건강책임 3문항)이다. 이 모형은 적합도 지수(GFI, RMSEA, TLI, CFI)의 최적치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건강관리능력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측정모형이다.

키워드

건강관리능력, 문항반응이론, 척도개발, 타당화 검증

참고문헌(21)open

  1. [학술지] 권현진 / 2015 /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수면 만족감의 연관성 / 한국체육학회지 54 (6) : 119 ~ 131

  2.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학교체육진흥법 하위 법령 제정 관련연구

  3. [기타] 교육부 / 2015 /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11]

  4. [학술지] 김경희 / 2001 / 대구지역 일부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 (2) : 65 ~ 82

  5. [학술지] 김남선 / 2008 /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 낙관성과 비관성을 중심으로 -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 (4) : 388 ~ 395

  6. [학술지] 김범수 / 2011 / 생활체육참여자의 열정, 건강신념 및 운동지속의도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 883 ~ 893

  7. [학위논문] 나재민 / 2016 / 공공보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시작적 형상화연구 : 건강신념모델(HBM)에 기반한 효과 분석

  8.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 2014 / 국민 생활체육활동 참여실태조사

  9. [학술지] 박남희 / 2002 / 청소년 건강행위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 (1) : 150 ~ 158

  10. [보고서] 유창완 / 2015 / 체육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실행 방향

  11. [학술지] 이병관 / 2014 / 건강 관련 행동의 예측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유용성 국내 건강신념모델 연구의 메타분석 / 홍보학연구 18 (2) : 163 ~ 206

  12. [학술지] 양옥경 / 2015 / 신체건강행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67 (3) : 151 ~ 180

  13. [학위논문] 홍외현 / 1999 / 고등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 요인

  14. [단행본] Hair, J. F. / 1998 / Multivariate data an alysis / Prentice-Hall International

  15. [단행본] Linacre, J. M. / 2004 / Introduction to Rasch measurement: Theory, models and application / JAM Press : 258 ~ 278

  16. [학술지] Pawlak, R. / 2005 / Economic considerations of health literacy / Nurs Econ 23 : 170 ~ 180

  17. [학술지] Pender N. J. / 1990 / Predicting Health-Promoting Lifestyles in the Workplace / Nurs Res 39 (6) : 326 ~ 331

  18. [단행본] Rosenstock, . I. M. / 1974 /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 Slack : 1 ~ 8

  19. [단행본] Rosenstock, I. / 1994 / Preventing AIDS : Theories and methods of behavioral intervention / Plenum Press

  20. [학술지] Seol, H. / 2007 /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of the Marlow-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using Rasch measurement / Measurement and Educ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 (3) : 155 ~ 168

  21. [학술지] Wallalce, L. S. / 2000 /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exercise behavior among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32 (1) : 39 ~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