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한국 최초의 여성권리선언문인 ‘여권통문’이 각 신문지상에 발표된 후 수백 명의 여성들 지지하에 최초의 한국근대여성단체인 찬양회를 조직하고 순성여학교 설립을 결의했던 장소에서부터 순성여학교 운영 및 폐교에 이르기까지 여성운동의 전개과정을 각 장소 별로 살펴본 후 ‘여권통문’ 취지에 따라 찬양회를 조직하고 순성여학교 설립을 결의했던 장소의 발굴과 오늘날 그 위치가 어디인지를 추적하였다. 추적의 결과 그 위치가 오늘날 서울시 중구 삼각동 117번지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권통문’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는 홍문동사립소학교 이시선 집, 승동 수사 홍건조 집, 경운궁 인화문 앞 장례원 주사 김용규 집, 경운궁 인화문 앞, 창선방 느릿골, 계동 전화선 주사 마희률 집, 돈화문 앞 사헌부 조방 등이었다. 이 중에서 홍문동사립소학교 이시선 집은 ‘여권통문’ 결의 장소이자 한국근대여성운동의 역사적 기원지라고 할 수 있다. 이곳은 1903년 대한제국 한성부 호적표에 의하면 남서 홍문동계 홍문동 8통 1호이었다. 이곳은 1912년 토지대장과 비교했을 때 1912년도 삼각정 지적도상의 남부 삼각정 31-33번지에 해당되었다. 1943년 남부 삼각정은 중구 삼각정으로 되었고 광복 이후 1946년 중구 삼각동으로 개칭되었다. 1999년 홍문동사립소학교 이시선 집은 중구 삼각동 117번지로 통합 정리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여권통문의 취지에 따라 찬양회를 조직하고 순성여학교 설립을 결의했던 장소가 곧 오늘날 신한은행 백년관이 위치하고 있는 중구 삼각동 117번지이다. 즉 오늘날 신한은행 백년관 장소는 한국여성들이 여권통문의 취지를 실천에 옮기기 위해서 한국 최초의 근대여성단체인 찬양회를 조직하고 한국 여성 최초의 사립여학교인 순성여학교 설립을 결의했던 ‘여권통문’ 결의 장소이자 한국근대여성운동의 역사적 기원지였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여권통문, 찬양회, 순성여학교, 신한은행 백년관, 홍문동사립소학교

참고문헌(62)open

  1. [기타] / 1897 / 독립신문 1897. 1. 5, 잡보

  2.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6. 9, 잡보

  3.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9. 13, 녀인교육

  4.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9. 15, 잡보

  5.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9. 26, 부인 기회

  6.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9. 27

  7.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9. 29, 녀즁호걸

  8.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0. 7, 부인회연셜

  9.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0. 7, 외국인의연

  10.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0. 8, 부인충애

  11.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0. 12, 부인상쇼

  12.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0. 13, 부인샹쇼

  13.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1. 7, 만민충애

  14.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2. 2, 의사장례

  15.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2. 7, 부인회 쇼문

  16.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2. 9, 리화 학당 셜명

  17. [기타] / 1898 / 독립신문 1898. 12. 10, 부인회 셜명

  18.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2. 1, 금년예산표

  19.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2. 27, 三죵학도

  20.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3. 1, 여자교육

  21.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3. 4, 남녀유별

  22.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5. 4, 학교 재촉

  23.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5. 27, 녀학교 관뎨

  24. [기타] / 1899 / 독립신문 1899. 10. 3, 녀학교 사건

  25.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9. 6, 잡보

  26.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0. 12, 잡보

  27.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0. 13, 잡보

  28.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0. 20, 잡보

  29.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1. 2, 잡보

  30.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1. 10, 잡보

  31.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2. 3

  32. [기타] / 1898 / 제국신문 1898. 12. 9, 잡보

  33. [기타] / 1900 / 제국신문 1900. 2. 27, 잡보

  34. [기타] / 1903 / 제국신문 1903. 4. 28, 여교유장(女校有長)

  35. [기타] / 1899 / 황성신문 1899. 5. 4, 여교청원(女校請願)

  36. [기타] / 1899 / 황성신문 1899. 5. 24, 여교청의(女校請議)

  37. [기타] / 1899 / 황성신문 1899. 6. 7, 여교재청(女校再請)

  38. [기타] / 1899 / 황성신문 1899. 10. 4, 아랑능독(兒娘能讀)

  39. [기타] / 1898 / 황성신문 1898. 10. 19, 청설자교(請設姿校)

  40. [기타] / 1898 / 황성신문 1898. 12. 3, 별보

  41. [기타] / 1898 / 황성신문 1898. 12. 9, 학사일광(學舍日廣)

  42. [기타] / 1899 / 황성신문 1899. 1. 18, 예산결정(預筭決定)

  43. [기타] / 1899 / 황성신문 1899. 2. 24, 여교사설(女校私設)

  44. [기타] / 1900 / 황성신문 1900. 1. 19, 교비정지(校費停止)

  45. [기타] / 1900 / 황성신문 1900. 1. 26, 官廳事項

  46. [기타] / 1900 / 황성신문 1900. 1. 24, 여교경비의 청지(女校經費의 請支)

  47. [기타] / 1901 / 황성신문 1901. 9. 14, 校舍典日

  48. [기타] / 1903 / 황성신문 1903. 3. 19, 적녀교장(吊女校長)

  49. [기타] / 1903 / 황성신문 1903. 4. 25, 여교유장(女校有長)

  50. [기타] / 1903 / 황성신문 1903. 5. 13, 마탈여교(馬奪女校)

  51. [기타] / 1903 / 황성신문 1903. 5. 25, 허이조방(許移朝房)

  52. [기타] / 1906 / 대한매일신보 1906. 3. 31

  53. [기타] / 대한계년사 상

  54. [기타] / 1901 / 주의 39

  55. [기타] / 1708 / 구한국외교문서 18

  56. [기타] / 1901 / 일신

  57. [보고서] 박용옥 / 1984 / 한국 근대여성운동사 연구

  58. [단행본]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 / 1998 / 우리 여성의 역사 / 청년사

  59. [단행본] 한국여성연구회 여성사분과 / 1992 / 한국여성사 / 풀빛

  60. [학술지] 김영정 / 1979 / 한말 사회진출 여성의 유형과 활동양상 /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34

  61. [학술지] 박용옥 / 1971 / 1896-1910 부녀단체의 연구 / 한국사연구 6

  62. [학술지] 손병규 / 2013 / 1900년대 「光武戶籍」의 ‘士’와 「民籍」의 ‘兩班’ 기재 / 대동문화연구 (81) : 101 ~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