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CES-D 척도의 축약형 버전 중 Andersen form과 Boston form의 CES-D-10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성별과 연령집단 간 측정불변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령화패널(KLoSA)의 1차년도와 5차년도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ndersen form은 2요인 구조, Boston form은 4요인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불변성에 대한 분석결과, Andersen form CES-D-10은 성별집단에서는 고유치불변성모형, 연령집단에서는 부분절편불변성모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Boston form CES-D-10의 경우에는 성별 및 연령집단 모두에서 고유치불변성모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wo abbreviated versions(Andersen form and Boston form) of the CES-D-10 scale that are widely used to measure depression and to test their measurement invariance over gender and age group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the 1st and 5th wave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Andersen form of the CES-D-10 scale fitted well to a 2-factor model, a 4-factor model fitted best for Boston form of the CES-D-10 scale. Second, the analyses showed that Andersen form of the CES-D-10 scale sustained measurement invariance up to residual level for gender and up to partial intercept level for age groups. In terms of Boston form of the CES-D-10 scale, measurement invariance was sustained up to residual level for both gender and age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8-000542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