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반을 차지하고 있는 기후대인 온대중부의 혼효림을 대상으로 치유환경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치유환경의 분석을 위하여 피톤치드(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NVOCs), 미세먼지(PM2.5), 미기후환경(기상환경 및 온열환경), 음이온 등 총 4개의 치유환경인자를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대전광역시 보문산 일대의 혼효림에서 총 3회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활엽수림, 활엽수 우점 혼효림, 침엽수 우점 혼효림 등 수종 우점율이 다른 3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각 지점의 Total NVOCs(TNVOCs)를 분석한 결과, 활엽수림은 1.17 ng/m3, 활엽수 우점 혼효림은 0.94 ng/m3, 침엽수 우점 혼효림은 0.97 ng/m3으로 확인되었다. 미세먼지(PM2.5)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각각 65.3 μg/m3, 65.5 μg/m3, 59.0 μg/m3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음이온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각각 433 ea/cm3, 477 ea/cm3, 510 ea/cm3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측정시기가 늦가을에서 초겨울인 것을 감안하였을 때 온대중부의 혼효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침엽수종인 소나무림과 편백나무림 못지않게 치유환경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는 온대중부 혼효림에 대한 치유환경으로서의 근거자료로 활용되며, 국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치유의 숲, 자연휴양림 등 치유환경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쓰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NVOCs, PM2.5, Microclimate environmental factors, Anion, Forest healing

참고문헌(21)open

  1. [학술지] 조영민 / 2014 / 계절별 산림 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8 (2) : 59 ~ 69

  2. [학술지] 최종일 / 2015 /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호흡기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환경정책 23 (4) : 155 ~ 172

  3. [학술대회] Choi, W / 2014 / Effects of walking on human in the Jangseong healing forest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69 ~ 70

  4. [학술지] 홍순상 / 2012 / 화병에 대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치료 효과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3 (4) : 169 ~ 182

  5. [학술지] 정다워 / 2013 / 숲과 잔디광장의 온열환경이 인체의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 금강 수목원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7 (4) : 143 ~ 148

  6. [학술지] 김대욱 / 2010 /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미기후환경의 변화 분석 ― 대구광역시 중구를 대상으로 / 도시설계 11 (2) : 77 ~ 94

  7. [학위논문] Kim, G / 2017 /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NVOCs Concentration with Changing Microclimate in Major Forest Types in Korea

  8. [학술지] 김건우 / 2017 / 소나무림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NVOCs 농도예측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1 (3) : 11 ~ 21

  9. [학술지] Kim, G. / 2016 / Case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in Forest Healing Spaces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61 (2) : 375 ~ 381

  10. [학술지] Kim, G. / 2015 / Primary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tmosphere using the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Method within the Forest /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60 (2) : 471 ~ 476

  11. [학술대회] Kim, G / 2013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NVOC Concentrations in Korean red pine forest and Hinoki cypress forest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73 ~ 76

  12. [학술대회] Kim, G / 2013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VOC emissions from Korean red pine forest in winter seas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681 ~ 684

  13. [학술대회] Kim, G / 2014 / The relationship between NVOC concentration of pine forest and a forest environment in spring / Proceedings of the 2014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 355

  14. [학술대회] Kim, G / 2014 / The relationship between NVOC concentration of pine forest and a forest environment in autumn / Proceedings of the 2014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 357 ~ 357

  15. [학술지] 김건우 / 2014 / 봄철 소나무숲의 NVOC 농도와 숲환경과의 상관관계 / 한국산림과학회지 103 (3) : 483 ~ 489

  16. [학술지] 김정호 / 2013 / 도심지역 녹지면적이 여름철과 가을철의 음이온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서울도시연구 14 (3) : 105 ~ 116

  17. [학술지] 김민희 / 2013 / 무등산 5개 임분에 있어서 산림의 건강·활력도와 테르펜 잔존량의 특성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7 (2) : 79 ~ 91

  18. [학술지] 김선아 / 2015 / 숲 체험 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숲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9 (3) : 51 ~ 58

  19. [학술지] 구승모 / 2017 / A case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ifferent patterns of green care and healing complexes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4 (3) : 451 ~ 461

  20. [학술대회] Kwon, C / 2014 / The urban forest visits effect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human body(targe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ity living area / Proceedings of the 2014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 358

  21. [학술지] Lee, J / 2003 / The EFFECT OF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USED ANION BY INDOOR PLANTS /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5 (3) : 89 ~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