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기능이 잘 알려진 곰취로부터 곰취의 소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하여 곰취차를 제조한 후 주요 항산화물질을 탐색하고, 이들 성분의 추출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우선 온라인 항산화 장치를 통하여 곰취 추출물의 주요 항산화 성분이 5-CQA, 3,4-DCQA, 3,5-DCQA 및 4,5-DCQA로 구성된 caffeoylquinic acid류의 화합물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곰취차에서 이들 성분의 추출율 변화를 추출온도, 시간, 용매 및 추출 방법 등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는데, 물에서의 추출율은 어느 온도에서든지 10분의 분석시간동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8oC에서의 추출율도 매우 우수하였는데, 80oC 추출율의 약 60%의 유효성분이 10분 동안 추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함량에 따른 곰취차의 추출율에서도 추출시간에 따라 추출율이 증가하였지만, 에탄올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추출율은 감소하였는데, 특히 100% 에탄올 조건에서는 추출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곰취차의 제조 과정 중 블렌칭 단계에서는 곰취분말로부터 약 60% 이상의 항산화성분이 물로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3,5-DCQA의 경우에는 90% 이상의 손실을 나타내어, 곰취분말에서는 3,5-DCQA가 가장 많이 추출되는 반면 곰취차에서는 3,4-DCQA가 가장 추출율이 높은 항산화성분이었다. 한편 초음파 추출법은 일반 추출법에 비해 항산화 성분의 추출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곰취가 차로 만들어졌을 경우에 항산화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찬물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기능차로서 그 효용성과 편리성이 매우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After Gomchui tea was prepared from leaves of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by blanching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jor compounds in Gomchui tea was assessed. On-line HPLC-ABTS analysis revealed that caffeoylquinic acids (chlorogenic acids), such as 5-O-caffeoylquinic acid (5-CQA), 3,4-di-O-caffeoylquinic acid (3,4-DCQA), 3,5-di-O-caffeoylquinic acid (3,5-DCQA) and 4,5-di-O-caffeoylquinic acid (4,5-DCQA), were the major antioxidant compounds in Gomchui tea.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se compounds were examined in the various conditions such as extraction temperature, time and solve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xtraction amount with water increased in proportion to extraction time (1~10 min) and temperature (8~80oC). These active compounds were also extracted with water even at 8oC (60% of 80oC), indicating that water is very good extraction solvent for extraction of these antioxidant constituents. However,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se compounds decreased when ethanol percentage in water increased. The extraction efficiency between Gomchui powder (no blanching) and te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nd 60% of total antioxidant compounds in tea was removed from fresh leaves into water in blanching process, especially 3,5-DCQA (over 90%). Meanwhile, the sonication method didn't affect the extraction of these compounds in all solv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mchui tea can be a good candidate for the tea beneficial to human health.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511-002244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