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2종의 고구마에 대한 총 페놀함량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였다. 17종의 비자색고구마 중 수, 하얀미, 신황미 품종의 총 페놀함량이 21.4, 21.5, 20.3 ㎍(GEA/g dried sweet potato)으로 가장 높았으며, 맛나미와 연황미 품종에서 4.6과 4.8 ㎍으로 가장 낮았다. 5종의 자색고구마에서 총 페놀함량은 자미 품종이 128.3 ㎍으로 가장 높았으나, 신자미 품종에서 44.9 ㎍으로 가장 낮았다. 1-NP, daunomycin, Trp-P-1, Trp-P-2, 2-AA에 의해 돌연변이가 유도된 S.Typhimurium TA 98과 1-NP에 의해 돌연변이가 유도된 S.Typhimurium TA 100에 있어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고구마 메탄올 추출물은 대체적으로 효과적이었으며, 자색고구마에 있어서는 자미와 아야무라사키 품종에서 높았다. 총 페놀함량이 많은 자색고구마는 2-AA에 대해서만 높은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을 뿐 1-NP, daunomycin, Trp-P-1, Trp-P-2에 대해서는 비자색고구마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색고구마 품종 간에 있어서는 총 페놀함량이 많을수록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높았다. 고구마의 품종별 항돌연변이 효과는 총 페놀 함량보다는 사용된 돌연변이원 및 균주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었다.

Polyphenolic content and antimutagenicity of the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22 cultivars of sweet potato with different flesh colors were investigated using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method and Ames test, respectively. There was a remarkable cultivar difference in the polyphenolic content of sweet potato. Su, Hayanmi and Shinhwangmi among 17 cultivars of non-purple sweet potato had higher polyphenolic contents of 21.4, 21.5 and 20.3 ㎍ (GAE/g dried sweet potato), respectively, whereas Manami and Yeonhwangmi were very much lower at 4.6 and 4.8 ㎍. Mokpo No.62, Borami, Sinjami, Jami and Ayamurasaki had much higher polyphenolic contents of 67.7, 76.9, 44.9, 128.3 and 93.2 μg, respectively, than non-purple sweet potato.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sweet potato effectively inhibited the reverse mutation induced by 1-NP, daunomycin, Trp-P-1, Trp-P-2 and 2-AA on S. Typhimurium TA 98, and by 1-NP on S. Typhimurium TA 1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mutagencity properties may be influenced by the tested mutagen and strain rather than the polyphenolic content of non-purple and purple sweet potato. However, in the purple sweet potatoes, a high polyphenolic content may influence the antimutagencity propertie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2-511-004074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