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60.156
3.133.160.156
close menu
KCI 등재
기혼 유배우 여성의 교육수준이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ed Women’s Education on thei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s
오유라 ( Oh You Ra ) , 윤예인 ( Yoon Ye In )
DOI 10.38082/SWPR.2021.18.01.41
UCI I410-ECN-0102-2022-000-000512209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유배우 여성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간의 관계에 성역할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구주 또는 가구주의 배우자가 성인인 기혼 유배우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역할인식 척도의 구성개념인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인식과 노동시장참여-가족책임의 충돌 인식을 중심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들의 결과처럼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제한하였을 때 여성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역할인식 구성개념 중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인식은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사이에 조절변인으로써 작용하였다. 셋째, 성역할인식 구성개념 중 노동시장참여-가족책임의 충돌 인식은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 사이에 조절변인으로써 작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수준과 경제활동참여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인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일-가정 양립지원제도를 포함한 정책적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per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For the research model’s analysis, we used data from the 13th Korean Welfare Panel Survey, with a specific focus on adult married women survey participants.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work-family compatibility difficulty and the perception of conflict between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family responsibility, which is a main factor in the gender role perception scal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when the influence of various variables was controlle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men's educ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difficulty of work-family balance among the constituent concepts of gender role recognition serv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which could inform future policy suggestions that will improve the work-family balance support system.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