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크기 및 형상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9 배합의 실내 실험과 3 배합의 레미콘 배합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은 보통중량, 전경량 및 모래경량의 3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각 콘크리트 배합에서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시험체의 형상비는 1.0과 2.0이었다. 시험체의 단면 크기는 각 실내배합에서는 50~150mm, 각 레미콘 배합에서는 50~400mm 범위에 있었다. 실험 결과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균열진전과 국부 파괴영역은 보통중량 콘크리트와 상당히 달랐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균열은 골재를 관통하였으며, 균열의 분포영역은 매우 국부적이었다. 이로 인해,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크기효과는 보통중량 콘크리트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 현상은 형상비 1.0보다는 2.0인 시험체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진근 등의 크기효과 예측모델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시험체 단면크기가 150mm 이상일 때 과대평가하였다. 반면, 압축강도에 대한 시험체 형상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ASTM 및 CEB-FIP에서 제시한 수정계수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도 안전측에 있었다.

The current study prepared 9 laboratorial concrete mixes and 3 ready-mixed concrete batches to examine the size and shape effects in compression failure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WC). The concrete mix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rmal-weight, all-lightweight and sand-lightweight concrete groups. For each concrete mix, the aspect ratio of circular or square specimens was 1.0 and 2.0. The lateral dimension of specimens varied between 50 and 150 mm for each laboratorial concrete mix, whereas it ranged from 50 to 400 mm with an incremental variation of 50 mm for each ready-mixed concrete batch. Test observations revealed that the crack propagation and width of the localized failure zone developed in lightweight concrete specimen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than those of normal-weight concrete (NWC). In LWC specimens, the cracks mainly passed through the coarse aggregate particles and the crack distribution performance was very poor. As a result, a stronger size effect was developed in LWC than in NWC. Especially, this trend was more notable in specimens with aspect ratio of 2.0 than in specimens with that of 1.0. The prediction model derived by Kim et al. overestimated the size effect of LWC when lateral dimension of specimen is above 150 mm. On the other hand, the modification factors specified in ASTM and CEB-FIP provisions, which are used to compensate for the shape effect of specimen on compressive strength, were still conservative in LWC.

목차

ABSTRACT
1. 서론
2. 실험
3. 실험 결과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요약

참고문헌 (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530-002776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