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posal of Bridge Design Guideline by Analysis of Marine Accident Parameters occurred at Bridges Crossing Navigable Waterways

항만횡단 해상교량의 해양사고 관련 인자 분석을 통한 교량설계안 제안

  • Park, Young-Soo (Training Center of Ship Operat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Yun-Sok (Training Center of Ship Operat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Park, Jin-Soo (Division of Navigation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Cho, Ik-Soon (Marine Simulation Center,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Un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박영수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 이윤석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 ;
  • 박진수 (한국해앙대학교 항해시스템공학부) ;
  • 조익순 (한국해양대학교 마린시뮬레이션센터) ;
  • 이은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Recently Bridges crossing waterway are constructed in navigable waterway, so marine accidents near bridges navigable waterway often occurred bemuse that has affect dangerous element for. This paper analysed the necessary environmental factors to navigate safely near bridges and how to set up the environmental factors. Marine accidents elements occurred near bridges relate to span of bridge, size of navigating ship, length of straight way and traffic volume except mistake of mariners. As results of marine accident parameter analysis, Span of bridge is necessary more than 300m at least based on marine accident's analysis, and in case of more than ship's Length 150m, span of bridge is necessary more than 500m, $3{\sim}4L$(L; Ship's Length). Length of straight way before bridge is necessary more than 8L to minimize the marine accident.

최근 세계 각지에서는 선박 통항 수역에 해상교량의 건설 운영, 건설 계획 중에 있어 이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에게는 위험요소로 작용하여 해양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및 유럽, 일본을 대상으로 해상교량과 관련한 해양사고 인자 분석을 통하여 해상교량 건설 및 기 설치된 해상교량의 안전한 선박통항을 위하여 필요한 환경 요소가 무엇이며 이 환경 요소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해상교량과 관련한 해양사고 관련 인자는 선박운항자의 실수 이외에 주경간폭, 통항하는 선박크기, 직선거리, 선박교통량 등이 관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최소 해상교량 주경간폭은 300m 이상이며, 선박크기가 150m 이상의 선박이 통항하는 해역에서는 주경간폭이 500m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해상교량 진입 직전 직선거리는 최소한 5L이상이 필요하며 8L(L:선박의 길이) 이상의 확보를 통하여 해양사고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수, 박진수, 고재용, 정재용, 이은(2005), "해상교량 건설을 위한 선박통항 안전성 검토요소에 대한 연구-I",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9권 제1호, pp.71-75. https://doi.org/10.5394/KINPR.2005.29.1.071
  2. 박진수, 박영수, 이형기(2005), 해상교통공학,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도서출판부, pp. 10.
  3. 박진수, 박영수, 조익순(2007), "해상교량 건설시 해상교통 안전 확보방안", 제22차 해양사고방지 세미나, 해양안전심판원, pp.3-25.
  4. 謝洪淋, 井上欣三, Cemil Yurtoren(2005), "潜在環境負荷と 残存環境負荷の関係についてーI, -直線状航路における数量 関係の推定-", 日本航海学会論文集, No.112, pp.95-100.
  5. 庄司邦昭, 若生知己(1986), "橋梁に対する船舶衝突事故例の 解析, 日本航海学会学会誌", No.87, pp.75-83.
  6. 庄司邦昭(1999), "橋梁に対する船舶衝突事故例調査と新素材 橋脚防護施設", 社團法人日本船長協會, 船長第116號, pp52-68.
  7. Gluver, H., and Olsen, D.(1998), "Ship Collision Analysi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s in ship collision", pp.3-11.
  8. Shoji, K.(1990), "On the Effect of Curved Channel near the Bridge upon the Safe-Manoeuvring of Ship", 日本航海学会論文集, No.82, pp.153-164.